안녕하세요 감또갱입니다 :)
무심결에 쓰는 말 중에 잘못된 띄어쓰기가 있을 수도 있다?!
당연한 듯 자주 사용하던 표현들 중에 의외로 틀렸던 표현들이 몇 가지 있더라고요.
해서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헷갈리는 띄어쓰기 퀴즈를 준비해봤습니다.
바로 알아보시죠!
- '한 번'? '한번'?
과연 첫 번째 문제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바로 2번입니다!
'하나의 횟수'가 아니라 '어떤 일을 시험 삼아 시도함'의 의미를 갖고 있는 말은 '한번'처럼 붙여 쓰는 것이 맞다고 해요.
그러나 '번'이 차례나 일의 횟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한 번', '두 번', '세 번'과 같이 띄어 쓰는 게 맞다고 합니다.
둘의 차이점이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예시를 통해 잘 봐주세요.
예시) '너, 말 한번 잘했다!'
예시) '좋아, 어디 한번 해 보자!'
예시) '그저 한번 해 본 말이지.'
예시) '날씨 한번 더럽게 덥네.'
예시) '실패하든 성공하든 한번 해 보자!'
예시) '새 메뉴가 맛있다고 해서 한번 먹어봤어요.'
예시) '한번 더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시) '그는 한번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면 저렇게 한도 끝도 없이 부른다.'
속담) '알고 한 번 모르고 한 번'
예시) '한 번만 더 하면 휴대폰 뺏어버린다.'
예시) '일주일에 한 번 달리기를 한다.'
예시) '한 번 실패하더라도 두 번, 세 번 다시 도전하자!'
예시) '누구나 한 번은 겪는 일.'
예시) '그날 이후 그는 내게 한 번도 전화하지 않았다.'
예시) '언제 우리 집에 한 번 놀러 올래?'
- '일대일'? '일 대 일'?
과연 두 번째 문제의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바로 1번입니다!
'양쪽이 같은 비율이나 같은 권리로 상대함 또는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상대함'이라는 뜻을 나타낼 때는 명사 '일대일'을 붙여 쓰는 게 맞다고 해요.
그러나 '사물과 사물의 대비나 대립'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대'를 쓰는 경우에는 '일 대 일', 청군 대 백군'과 같이 띄어 쓰는 게 맞다고 합니다.
둘의 차이점이 어려우신 분들은 아래 예시를 통해 잘 봐주세요.
예시) '일대일로 맞서다.'
예시) '일대일로 대응하다.'
예시) '일대일 대결을 신청한다.'
예시) '일대일 과일 선생님을 구하고 있다.'
예시) '일대일 PT 수업으로 맞춤형 운동을 배울 수 있어요.'
예시) '일대일 맞춤 상담으로 고객님의 의견을 보다 정확하게 듣고 수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시) '우리는 장사하고 남은 이윤을 일대일로 나누기로 했다.'
예시) '연주회는 청중과 연주자가 일대일로 만나는 자리라고 할 수 있다.'
예시) '이번 축구 경기에서 한국은 일본과 일 대 일로 비겼다.'
예시) '족구 시합에서 우리 팀이 이 대 영으로 이겼다.'
예시) '두 팀의 실력이 서로 팽팽하여 경기는 일 대 일 무승부로 끝이 났다.'
예시) '밀가루와 찹쌀가루의 혼합 비율을 삼 대 일로 했을 때 면발의 맛이 가장 좋아요.'
예시) '오늘의 경기 몇 대 몇 예상하시나요?'
예시) '우리 학교 축구팀은 어제 옆 학교와의 친선 경기에서 사 대 일로 쾌승을 거두었다.'
오늘 저 감또갱이 준비한 띄어쓰기 퀴즈는 여기까지입니다.
더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굿바이・∀・
'감또갱의 알쓸신잡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띄어쓰기 모음! (0) | 2022.09.30 |
---|---|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모음! (1) | 2022.09.29 |
띄어쓰기 퀴즈 함께 알아보아요! (0) | 2022.09.27 |
예쁜 순우리말 닉네임 추천! 별명 추천! (1) | 2022.09.26 |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1) | 2022.09.25 |
댓글